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모라면 꼭 읽어야 할 돈의심리학(모건하우절, 돈, 양육)

by 여유요정 2025. 1. 17.
반응형

돈 공부는 부모의 역할에서 시작된다

아이들이 돈에 대해 배우는 첫 번째 선생님은 바로 부모입니다. 모건 하우절의 돈의 심리학은 우리가 돈을 어떻게 인식하고 대하는지에 따라 삶의 태도와 가치관이 달라진다고 말합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돈에 대한 태도는 부모의 행동, 말투, 그리고 돈과 관련된 대화에서 자연스럽게 배웁니다.

저 역시 9살 아들과 5살 딸을 키우면서, 돈 공부는 단순히 "저축해야 한다"는 규칙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돈을 통해 삶의 가치를 배우는 과정임을 느낍니다. 하우절의 철학을 우리 가정에 적용해 보며,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돈 공부를 실천해 나가고 있습니다.


1단계: 돈을 삶의 가치와 연결시키기

모건 하우절은 "돈은 도구일 뿐이며, 우리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와 목적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돈의 개념을 가르칠 때, 단순히 "돈을 벌어서 소비한다"는 공식을 넘어, 돈이 어떤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가정에서의 사례

  1. 9살 아들의 저축 목표 세우기
    아들에게 장난감을 사줄 때, 무조건 사주는 대신 "이 장난감이 네게 왜 필요한지 설명해줄래?"라고 물어보았습니다. 그러자 아들은 단순히 "갖고 싶다"는 이유를 넘어, "친구와 함께 가지고 놀고 싶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통해 돈을 쓴다는 것이 단순한 소비가 아닌, 친구와의 관계를 위한 투자라는 점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 실천 방안: 장난감을 사는 금액의 절반은 아들이 저축한 돈으로 채우게 했습니다. 이를 통해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계획하고 기다리는 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2. 5살 딸아이와의 기부 활동
    딸아이에게 동전을 몇 개 주며 "이 돈을 엄마가 돕고 싶은 사람들에게 줄 거야. 네가 생각하기에 이 돈이 어디에 쓰이면 좋을까?"라고 물었습니다. 딸아이는 "배고픈 친구들이 밥을 먹으면 좋겠어"라고 대답했습니다. 이후 딸아이와 함께 구호 단체에 적은 금액을 기부하며, 돈이 단순히 쓰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를 돕는 데도 사용될 수 있음을 가르쳤습니다.
    • 실천 방안: 기부할 금액을 정하는 과정에 아이들을 참여시키고, 기부의 의미를 쉽게 설명합니다.

2단계: 돈의 가치를 일상에서 체험하기

모건 하우절은 돈의 가치는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고, 그 선택이 시간을 통해 어떻게 변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합니다. 아이들에게 돈의 가치를 이해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일상에서 체험하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 가정에서의 사례

  1. 9살 아들과의 복리 개념 이해하기
    아들과 함께 "저축 통장 게임"을 시작했습니다. 아들이 매주 용돈의 일부를 저금통에 넣으면, 그 금액에 맞춰 "이자가 붙는다"고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500원을 넣으면 제가 50원을 더 넣어주는 식으로 복리의 개념을 놀이로 체험하게 했습니다. 아들은 저금통에 돈이 점점 늘어나는 것을 보며 저축의 즐거움을 느끼고, 돈을 쓰지 않고도 성취감을 얻는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2. 5살 딸아이와 시장 놀이
    딸아이와 함께 집에서 "시장 놀이"를 하며 물건을 사고파는 경험을 만들어줬습니다. 아이에게 작은 동전 몇 개를 주고, 그녀가 원하는 "장난감 가게"를 열게 했습니다. 물건마다 가격을 정하고, 엄마는 딸아이에게 돈을 내며 물건을 샀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돈이 물건을 교환하기 위한 도구라는 개념을 자연스럽게 배웠습니다.

3단계: 실패를 통해 돈의 책임감을 배우기

모건 하우절은 돈을 잃는 경험이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강조합니다. 돈에 대한 책임감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작은 실수를 경험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우리 가정에서의 사례

  1. 9살 아들의 실패 경험
    아들이 자신이 모은 돈으로 원하지 않는 물건을 충동적으로 샀을 때, 저는 "왜 이 물건을 샀을까?"라고 물었습니다. 아들은 "그냥 예뻐 보여서 샀는데, 지금 보니 필요 없는 것 같아"라고 말했습니다. 저는 "다음에는 돈을 쓰기 전에, 이 물건이 정말 필요한지 한 번 더 생각해 보자"라고 제안했습니다. 이후 아들은 돈을 쓸 때 더 신중해졌습니다.
  2. 5살 딸아이의 저축 실패
    딸아이는 저금통에 넣기로 했던 동전을 "가게 놀이"를 하며 모두 써버렸습니다. 저는 딸아이에게 "저축을 했더라면 더 큰 장난감을 살 수 있었을 텐데, 이번엔 재미있는 놀이를 할 수 있었네. 다음엔 어떤 선택을 하고 싶어?"라고 물었습니다. 딸아이는 이후 동전을 저금통에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가정에서 설정한 돈 교육 목표

  1. 매주 '돈 대화' 시간 가지기
    가족끼리 한 주 동안 돈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이야기하며, 각자의 선택과 결과를 공유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이 돈에 대한 책임감과 계획성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는 용돈을 줄 때 용돈기입장 내역을 확인합니다. 남편과는 주말 차 안의 이동시간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편입니다.
  2. 가족 공동 목표 설정하기
    아이들과 함께 가족 여행이나 큰 장난감 구입 같은 공동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해 모두가 조금씩 저축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예를 들어 여름휴가 계획이나 공동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가구 혹은 이벤트날(크리스마스 선물 준비, 명절)을 위한 계획이 있습니다.
  3. 경험에 돈을 투자하는 법 배우기
    물질적인 소비보다 가족과의 경험에 돈을 투자하는 즐거움을 아이들에게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장난감을 사는 대신 도자기공방에 들러 도자기를 만들어 본다거나, 박물관이나 놀이공원을 방문하는 등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것에 투자하고 소비를 하는 방법입니다.

돈 공부는 결국 삶 공부다

모건 하우절은 돈이 단순히 물질적인 숫자가 아닌, 삶의 철학과 가치관을 반영한다고 말합니다. 저 역시 9살 아들과 5살 딸을 키우며, 돈을 통해 삶의 중요한 가치를 배울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돈 공부는 결국 삶 공부입니다. 오늘부터 우리 가정에서 돈과 관련된 대화를 시작해보세요. 돈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를 심어주는 부모의 역할은 아이들이 평생 가져갈 소중한 선물이 될 것입니다.

 

링크: <돈의심리학>에서 배운 양육원칙과 실천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