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이 돈을 벌 수 있을까?
예전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어린 시절 먹을 것이 부족하고, 가족 부양의 이유로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닌 노동자로써의 삶을 일찍부터 시작했다는 이야기들을 종종 들을 수 있다.
최근 읽은 <행동하지 않으면 인생은 바뀌지 않는다> 저자 역시 10세부터 일을 시작했었고, 워런버핏 역시 어린 시절부터 돈을 버는 경험으로 투자를 시작했다.
많은 부모들이 "우리 아이가 돈을 벌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진다. 예전과 다른 요즘도 가능할까?
최근 초등학생도 다양한 방법으로 직접 돈을 벌고 경제 개념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아이와 함께 여행경비를 모아보자는 계획을 세우며 리서치한 결과, 실제 사례들을 접하게 되었다.
우리 첫째(10살, 초등학교 3학년)는 3년 동안 용돈과 명절 용돈을 모아 100만 원을 만들었고, 이를 통해 경제적 성취감을 느꼈다. 그리고 4년 안에 460만 원의 뉴욕행 경비를 모으는 계획을 세운 우리 집 첫째.
실제로 초등학생이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
1. 유튜브 & 틱톡 크리에이터 (초등 3학년 이상 추천)
💡 장점: 관심 있는 분야로 콘텐츠를 만들며 창의력과 발표력을 키울 수 있음
✅ 실제 사례
- 장난감 리뷰 유튜버: 초등학생이 직접 장난감을 개봉하고 리뷰하는 콘텐츠로 수익 창출
- 게임 스트리밍: 마인크래프트, 로블록스 같은 인기 게임을 플레이하며 유튜브에 업로드
- 일상 브이로그: 학교 생활, 놀이공원 방문기, 책 추천 등 다양한 일상을 공유
- 초등 경제 교육 채널: 직접 용돈 관리하는 방법이나 돈 모으는 방법을 소개하는 콘텐츠
✅ 수익 창출 방법
- 유튜브 광고 수익 (구독자 1,000명 + 시청 시간 4,000시간 이상 필요)
- 틱톡 후원 및 브랜드 협업
- 장난감 협찬 및 기업 광고 진행
📌 실제 예시:
- 한국 초등학생 유튜버 ‘럭키강이’는 게임과 장난감 리뷰로 큰 인기를 얻으며 수익을 창출 중
- ‘지니키즈’는 어린이 교육 콘텐츠로 광고 수익과 협찬을 받고 있음
2. 플리마켓 & 중고 거래 (초등 4학년 이상 추천)
💡 장점: 직접 판매 경험을 하면서 돈의 흐름을 배울 수 있음
✅ 실제 사례
- 초등학생이 직접 만들 수 있는 비즈 반지, 팔찌, 키링, 슬라임을 제작하여 플리마켓에서 판매
- 안 쓰는 장난감, 책, 옷 등을 당근마켓 또는 번개장터에서 부모와 함께 판매
- 캐릭터 스티커를 만들어 친구들에게 판매하는 아이들도 있음
✅ 수익 창출 방법
- 부모와 함께 지역 플리마켓 참가하여 직접 물건 판매
-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판매
- SNS(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홍보 후 직접 판매
📌 실제 예시:
-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어린이 플리마켓에서 초등학생이 직접 만든 팔찌를 2,000~5,000원에 판매
- 초등 5학년 아이가 당근마켓에서 안 쓰는 레고와 피규어를 팔아 5만 원 이상의 수익 창출
3. 글쓰기 & 그림 그리기 (초등 2학년 이상 추천)
💡 장점: 창의력을 키우면서 돈을 버는 경험 가능
✅ 실제 사례
- 동화를 직접 쓰고 네이버 블로그나 **브런치(글쓰기 플랫폼)**에 올려 광고 수익 창출
- 자신의 그림을 스티커, 엽서로 제작해 판매
- 네이버 '청소년 작가 공모전'이나 '어린이 그림 대회'에 출품해 상금 받기
✅ 수익 창출 방법
- 블로그 운영(네이버 애드포스트 가입 후 광고 수익 얻기)
- 온라인 플랫폼(크몽, 아이디어스)에서 그림 굿즈 판매
- 그림 공모전, 글쓰기 대회에 참가해 상금 받기
📌 실제 예시:
- 한 초등 3학년 학생이 브런치에 어린이 동화를 연재하며 조회 수 증가 후 출판 기회 얻음
- 초등 4학년 학생이 네이버 블로그에 그림일기를 연재하며 애드포스트 수익 창출
4. 코딩 & 게임 제작 (초등 4학년 이상 추천)
💡 장점: 4차 산업 시대에 맞춰 미래 직업과 연결 가능
✅ 실제 사례
- '스크래치'나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활용해 간단한 게임 제작 후 판매
- 마인크래프트 맵을 직접 만들어 다른 유저들에게 유료 판매
- ‘코딩 어플’을 통해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제작 후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
✅ 수익 창출 방법
- 직접 만든 게임을 로블록스에서 유료 아이템으로 판매
- 코딩 대회 참가 및 수상 상금 받기
- 유료 온라인 강의를 듣고 배운 코딩 기술을 활용해 소규모 프로젝트 진행
📌 실제 예시:
- 국내 초등 5학년 학생이 로블록스에서 제작한 맵으로 수익을 창출한 사례 있음
- 한 초등학생이 스크래치로 만든 간단한 미니게임을 블로그에서 판매
5. 배달 & 심부름 서비스 (초등 5학년 이상 추천)
💡 장점: 노동의 가치를 깨닫고 서비스 개념을 배울 수 있음
✅ 실제 사례
- 가족이나 이웃을 위해 ‘청소 도우미’ 역할을 하면서 소액의 용돈 받기
- 도서관에서 책 빌려오기, 물건 심부름 등을 통해 부모에게 소정의 보상받기
- 배달 대행(예: 동네에서 친구들에게 간식 배달해 주고 배달료 받기)
✅ 수익 창출 방법
- 집안일을 돕고 부모에게 용돈 받기 (일정 금액 정하기)
- 동네 친구들과 심부름 대행 서비스 운영 (ex. 편의점 심부름, 강아지 산책)
📌 실제 예시:
- 초등 5학년 남학생이 ‘강아지 산책 서비스’를 운영하며 건당 5,000원씩 벌고 있음
- 초등 6학년 학생이 주말마다 부모님의 가게를 도와주고 한 달에 2~3만 원 용돈 받음
돈을 버는 경험이 경제교육의 시작!
초등학생이 직접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생각보다 많다. 단순히 용돈을 받는 것이 아니라, 노력의 가치를 깨닫고, 경제 개념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 유튜브, 중고거래, 플리마켓 등을 통해 실제로 수익을 창출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다.
✔ 창의력을 살려 글쓰기, 그림, 코딩 등을 활용해 수익을 내는 방법도 있다.
✔ 직접 심부름이나 작은 노동을 통해 돈을 벌면서 ‘노동의 가치’를 배울 수도 있다.
💡 우리 아이도 돈을 벌어볼 수 있도록, 관심 있는 분야를 찾아 도전해 보자! 😊